본문 바로가기

인식의 용이성 개요

인식의 용이성이란 장애나 환경적 제한과 관계없이 사용자가 웹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시각 장애인은 이미지를 볼 수 없으며, 청각 장애인은 오디오를 듣기 어렵다. 또한, 강한 햇빛 아래에서 화면을 보기 어려운 환경이나 시끄러운 장소에서도 콘텐츠를 문제없이 전달받을 수 있어야 한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도움이 될 수 있다.

  • 야외나 조도가 낮은 실내에서 화면 빛 반사와 밝기 차이로 인해 텍스트를 구분하기 어려울 때, 충분한 명도 대비가 적용된 디자인 덕분에 내용을 놓치지 않을 수 있다.
  • 이모지나 아이콘이 많은 게시물에서도, 장식 목적과 의미 전달 목적을 구분하여 대체 텍스트를 처리하면, 화면낭독프로그램이 불필요한 내용을 읽지 않아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 동영상을 시청할 때, 이어폰 없이 조용히 듣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자막이나 원고가 제공되면, 소리를 끄고도 콘텐츠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 차트나 그래프가 포함된 경우, 텍스트 설명이나 데이터 테이블을 함께 제공하면 시각 장애 사용자도 의미 있는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처럼 인식의 용이성을 높이면, 가시성과 가독성이 개선되어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이 향상된다.

지침(4개)검사항목(9개)
1.1. 대체 텍스트1.1.1. (적절한 대체 텍스트 제공) 텍스트 아닌 콘텐츠는 그 의미나 용도를 인식할 수 있도록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1.2. 멀티미디어 대체수단1.2.1. (자막 제공) 멀티미디어 콘텐츠에는 자막, 대본 또는 수어를 제공해야 한다.
1.3. 적응성1.3.1. (표의 구성) 표는 이해하기 쉽게 구성해야 한다.
1.3.2. (콘텐츠의 선형구조) 콘텐츠는 논리적인 순서로 제공해야 한다.
1.3.3. (명확한 지시사항 제공) 지시사항은 모양,크기,위치,방향,색,소리 등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1.4. 명료성1.4.1. (색에 무관한 콘텐츠 인식) 콘텐츠는 색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1.4.2. (자동 재생 금지) 자동으로 소리가 재생되지 않아야 한다.
1.4.3. (텍스트 콘텐츠의 명도 대비) 텍스트 콘텐츠와 배경 간의 명도 대비는 4.5 대 1 이상이어야 한다.
1.4.4. (콘텐츠 간의 구분) 이웃한 콘텐츠는 구별될 수 있어야 한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ll Rights Reserved.

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