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용의 용이성 개요
운용의 용이성이란 사용자가 사이트 내 모든 콘텐츠를 손쉽게 탐색하고 조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특히, 키보드만으로도 모든 기능을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탭(Tab) 키를 이용해 논리적인 순서로 초점이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초점을 받은 상태에서 예기치 않게 새 창이 열리거나, 입력하자마자 자동으로 페이지가 이동하는 등의 ‘원치 않는 맥락 변화’를 방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또한, 키보드 사용이 어려운 제한적인 상황(예: 부상으로 인한 신체적 제한, 마우스 조작이 불편한 환경)에서도 사용을 보장해야 한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는 터치 제스처를 지나치게 복잡하게 만들지 않고, 음성 명령을 사용하는 환경도 고려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환경을 생각해 볼 수 있다.
- 키보드만 사용해 게시물 작성, 댓글 입력이 가능하면, 한 손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나 화면낭독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용자도 서비스를 제약 없이 이용할 수 있다.
- 자동 슬라이드 배너에 ‘정지’ 버튼을 제공하면, 독서 속도가 느리거나 집중을 위해 움직임을 막고 싶은 사용자도 필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는다.
- 버튼에 마우스를 올렸을 때 즉시 팝업이 뜨는 대신, 클릭해야 열리도록 설계하면 오작동이 줄어들고 사용자의 예측 가능성이 커진다.
- 입력 서식에 초점이 이동했을 때, 시각적으로 초점이 어디에 있는지 표시해 주고, 필요하다면 오류 안내 텍스트 등을 제공하여 보조 기술이 서식 상태를 정확히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운용의 용이성을 확보하면, 사용자는 자신에게 적절한 속도와 방식으로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지침(5개) | 검사항목(15개 중 6개 추가) |
---|---|
2.1. 입력장치 접근성 | 2.1.1. (키보드 사용 보장) 모든 기능은 키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 야 한다. |
2.1.2. (초점 이동과 표시) 키보드에 의한 초점은 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 |
2.1.3. (조작 가능) 사용자 입력 및 콘트롤은 조작 가능하도록 제공되어 야 한다. | |
추가 2.1.4 (문자 단축키) 문자 단축키는 오동작으로 인한 오류를 방지하여야 한다. | |
2.2. 충분한 시간 제공 | 2.2.1. (응답시간 조절) 시간제한이 있는 콘텐츠는 응답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
2.2.2. (정지 기능 제공) 자동으로 변경되는 콘텐츠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 |
2.3. 광과민성 발작 예방 | 2.3.1.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 초당 3~50회 주기로 깜빡이거나 번 쩍이는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
2.4 쉬운 내비게이션 | 2.4.1. (반복 영역 건너뛰기) 콘텐츠의 반복되는 영역은 건너뛸 수 있어 야 한다. |
2.4.2. (제목 제공) 페이지,프레임,콘텐츠 블록에는 적절한 제목을 제 공해야 한다. | |
2.4.3. (적절한 링크 텍스트) 링크 텍스트는 용도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 |
추가 2.4.4. (고정된 참조 위치 정보) 전자출판문서 형식의 웹 페이지는 각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야 하고,서식이나 플랫폼에 상관 없이 참조 위치 정보를 일관되게 제공ㆍ유지해야 한다. | |
2.5. 입력 방식 | 추가 2.5.1. (단일 포인터 입력 지원) 다중 포인터 또는 경로기반 동작을 통 한 입력은 단일 포인터 입력으로도 조작할 수 있어야 한다. |
추가 2.5.2. (포인터 입력 취소) 단일 포인터 입력으로 실행되는 기능은 취소 할 수 있어야 한다. | |
추가 2.5.3. (레이블과 네임) 텍스트 또는 텍스트 이미지가 포함된 레이블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는 네임에 시각적으로 표시되는 해당 텍스트를 포함해야 한다. | |
추가 2.5.4. (동작기반 작동) 동작기반으로 작동하는 기능은 사용자 인터페이 스 구성요소로 조작할 수 있고,동작기반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어야 한다.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