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해의 용이성 개요

이해의 용이성이란 콘텐츠와 인터페이스가 명확하고 일관된 방식으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혼란을 겪지 않고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언어적 장애가 있거나, 콘텐츠를 빠르게 이해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제작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도움이 된다.

  • “공지사항 더보기”와 “이벤트 더보기” 버튼처럼 명확히 구분하면, “더보기” 같은 막연한 표현만 있을 때보다 사용자가 목적한 메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 회원 정보 수정 후 “저장되었습니다” 같은 알림을 시각적으로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화면낭독프로그램에서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면, 시각 장애가 있는 사용자도 결과를 파악할 수 있다.
  • 오류 메시지를 단순히 “에러가 발생했습니다”로 표시하는 대신, “이메일 형식이 올바르지 않습니다. 예) example@domain.com”처럼 안내하면, 사용자가 문제 해결 과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해의 용이성이 개선되면, 사용자는 처음 방문하더라도 사이트의 흐름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으며,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원활하게 탐색할 수 있다.

지침(3개)검사항목(7개 중 3개 추가)
3.1. 가독성3.1.1. (기본 언어 표시)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해야 한다.
3.2.1.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새 창, 초점에 의한 맥락 변화 등)은 실행되지 않아야 한다.
3.2 예측 가능성추가 3.2.2. (찾기 쉬운 도움 정보) 도움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 각 페이지에서 동일한 상대적인 순서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3.3. 입력 도움3.3.1. (오류 정정) 입력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3.3.2. (레이블 제공) 사용자 입력에는 대응하는 레이블을 제공해야 한다.
추가 3.3.3. (접근 가능한 인증) 인증 과정은 인지 기능 테스트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
추가 3.3.4. (반복 입력 정보) 반복되는 입력 정보는 자동 입력 또는 선택 입력할 수 있어야 한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ll Rights Reserved.

의견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