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고성 개요
견고성이란 콘텐츠가 기술 표준을 준수하여 제작함으로써, 다양한 기술 환경 및 보조 기술과의 호환성을 확보하는 것을 의미한다. 마크업 시 태그를 제대로 열고 닫지 않거나, id 속성이 중복되면 브라우저나 화면낭독프로그램 등에서 콘텐츠를 의도대로 해석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브라우저와 기기(스마트폰, 태블릿 등)에서도 콘텐츠가 문제없이 접근 가능하도록 고려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도움이 된다.
- 보조 기술(화면낭독프로그램, 음성 입력 시스템 등)과의 연동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면, 장애인을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가 문제없이 이용할 수 있다.
- 웹 애플리케이션을 오류 없이 표준 API를 활용해 제작하면, 확장이나 외부 연동이 쉬워지고 예기치 못한 호환성 문제를 줄일 수 있다.
- 태그 중첩 오류를 제거하고 시맨틱(semantic) HTML을 준수하면, 새로운 브라우저·기기·운영체제에서도 레이아웃이 깨지지 않고 유지보수가 용이해진다.
견고성이 보장된 콘텐츠는 접근성을 높이며, 기업이나 프로젝트 차원에서도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
지침(2개) | 검사항목(2개) |
---|---|
4.1. 문법 준수 | 4.1.1. (마크업 오류 방지) 마크업 언어의 요소는 열고 닫음, 중첩 관계 및 속성 선언에 오류가 없어야 한다. |
4.2.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 4.2.1.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준수) 콘텐츠에 포함된 웹 애플리케이션은 접근성이 있어야 한다.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