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5.4. 동작 기반 작동

동작 기반으로 작동하는 기능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로 조작할 수 있고, 동작 기반 기능을 비활성화할 수 있어야 한다.


기기를 기울이거나 흔들거나, 카메라를 통한 제스처 인식 등을 입력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우, 모든 사용자가 의도치 않은 실행을 방지하고, 대체 조작 수단(버튼 등)을 통해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는 손떨림이 있는 사용자, 휠체어 사용자, 음성 명령 사용자 등 동작 기반 입력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데 목적이 있다.

스마트폰·태블릿 등에서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카메라 센서를 이용해 흔들기·기울이기·제스처 명령 등 작 기반 기능을 활용하여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를 흔들어 실행을 취소하거나, 전면 카메라 위에서 손을 움직여 이전/다음 콘텐츠로 이동하는 기능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능은 다음과 같은 사용자 환경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 파킨슨병 등으로 심한 손떨림이 있는 사용자는 의도하지 않는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 휠체어에 기기를 고정해 사용하는 경우 기기를 흔드는 등의 동작을 수행하기 어렵다.
  • 음성 명령과 같은 보조 기술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기기를 움직이거나 제스처를 취할 수 없거나 어렵다.

따라서, 작 기반 기능을 제공할 때는 버튼 등 접근 가능한 대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동일한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동작 기반 입력을 쉽게 끌 수 있는 설정 옵션을 제공해야 한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동작 자체가 카메라 센서를 통해 눈동자 움직임을 감지하는 안구 마우스와 같이 접근성 지원 인터페이스를 통해 기능을 조작하는 경우와 만보기, 수평계와 같이 동작이 없으면 기능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는 경우다.

다음 사항이 모두 준수되어야 한다.

  • 동작 기반 기능을 쉽게 켜고 끌 수 있는 설정을 제공해야 한다.
  • 동작 기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버튼 등 접근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요소를 제공해야 한다.
동작 기반 작동
장치를 기울이거나 흔들거나 카메라를 향해 몸짓하는 것과 같이 동작에 직접 반응하는 센서를 통한 입력을 의미한다.
접근성 지원 인터페이스
사용자의 보조 기술, 브라우저, 기타 사용자 에이전트의 접근성 기능에 의해 지원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안구 마우스 시스템에서 카메라 센서를 통해 눈동자의 움직임이나 깜박임을 감지하여 컴퓨터 입력으로 변환하는 시스템이 이에 해당한다.

1) 동작 기반 기능을 끌 수 있는 설정과 대체 인터페이스 제공

섹션 제목: “1) 동작 기반 기능을 끌 수 있는 설정과 대체 인터페이스 제공”

다음은 기기를 흔들어 결제를 위한 바코드를 노출하는 기능이 제공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의 사례이다.

손떨림이 심하거나 기능을 원하지 않는 사용자를 위해 기기 흔들기 기능을 끌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하며, 기능을 꺼둔 경우에도 버튼을 통해 결제 바코드를 노출할 수 있도록 대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미지. ‘Shake to pay’ 기능의 설정 제공 및 대체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Pay’ 버튼 제공 사례 (출처: 스타벅스 앱)

1) 동작 기반 작동을 끌 수 있는 기능 미제공

섹션 제목: “1) 동작 기반 작동을 끌 수 있는 기능 미제공”

다음은 기기를 흔들어 결제 바코드를 화면에 노출하는 기능이 제공된 애플리케이션 사례이다. 이 기능이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지만, 사용자가 이를 비활성화할 수 있는 설정이 제공되지 않는다. 손떨림이 심한 사용자의 경우 의도하지 않게 결제 바코드가 실행되는 불편을 겪을 수 있다.

이미지. 흔들어 바코드가 노출됨을 안내하고 있는 사례

흔들어서 결제 바코드를 보여주는 기능을 켜고 끌 수 있는 설정을 제공한다.

또한 기본값은 끔 상태를 기본으로 제공하여, 기능이 우발적으로 활성화되지 않고 사용자가 필요할 때 직접 켤 수 있도록 한다.

2) 접근 가능한 대체 인터페이스 미제공

섹션 제목: “2) 접근 가능한 대체 인터페이스 미제공”

관광지의 건물 내부를 VR로 둘러볼 수 있도록 제공한 웹페이지 사례이다.

사용자가 기기를 위아래로 기울이거나 몸을 돌려가며 움직이면 건물 내부를 둘러볼 수 있게 화면이 이동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손가락을 이용해 좌우로 스와이프하면 화면을 이동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방향 조절 버튼 등의 대체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지 않아, 다음 사용자들은 VR 기능을 사용하기 어렵거나 사용할 수 없다. 기기를 휠체어에 고정해 놓고 사용해야 하는 사용자나 음성 명령으로만 사이트를 이용해야 하는 사용자들은 화면 터치 없이 조작할 수 없다.

이미지. 건물 내부를 VR 로 보여주는 사례

‘상/하/좌/우’ 이동 버튼을 제공하여, 마우스 클릭이나 키보드 또는 음성 입력만으로도 VR 시점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버튼을 길게 누르면 화면이 계속 회전되는 등 세밀한 이동 방식을 마련하여 추가 동작 없이도 원활한 VR 체험이 가능하도록 도울 수 있다.

아울러, 기기를 기울이거나 회전하는 입력을 끌 수 있는 설정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원치 않는 화면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All Rights Reserved.

의견 남기기